📖성공 스토리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부산의 2인 가죽 공방 레더랩은 지자체 스마트공방 지원과 공공컨설팅을 활용해 6개월 만에 월매출 2,800만원에서 4,200만원으로 성장했다. 납기 7일을 3일로 단축하고 불량률을 2.1%에서 0.8%로 낮춘 실무 절차와 서류 준비 팁을 공개한다.

·12분 읽기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부산 레더랩의 6개월 반전 시나리오

#성장지표#매출반전#metrics#turnaround

주인공은 부산 사하구의 맞춤 가죽 소품 공방 레더랩. 직원 1명과 대표 1명으로 운영하던 이 공방은 원가 상승과 납기 지연으로 월매출이 2,800만원에 고착돼 있었다. 대표는 지자체 스마트공방 전환 사업과 공공컨설팅을 결합하는 전략을 택했고, 총 2,300만원 규모의 지원과 바우처를 확보해 자부담 800만원으로 디지털 공정-온라인 주문-품질지표를 한 번에 구축했다. 결과는 6개월. 월매출 4,200만원, 온라인 수주 비중 10%에서 45%로 확대, 납기 7일에서 3일로 단축, 불량률 2.1%에서 0.8%로 개선됐다.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metrics 관련 이미지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metrics 관련 이미지

위기의 시작-문서 한 장이 탈락을 부른다

#초기실패#탈락사유#pitfall#documentation

처음 공모는 고배였다. 과제명은 매력적이었지만 문제정의가 모호했고 KPI가 추상적이었다. 견적서는 단일 공급사만 제출했고, 비용 대비 성과 추정이 주관적이었다. 심사평은 간단했다- 지원 필요성은 보이나 데이터 근거가 부족. 이 실패로 대표는 깨달았다. 사업은 아이디어 경쟁이 아니라 문서의 데이터 경쟁이라는 것을. 그날 밤, 그는 지원사업을 제품처럼 재설계하기로 결심했다.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pitfall 관련 이미지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pitfall 관련 이미지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documentation 관련 이미지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documentation 관련 이미지

전환의 계기-파괴적 혁신 관점으로 재프레이밍

#전환점#재설계#disruption#reframing

차별화하려면 고비용 자동화를 꿈꾸기보다 최소 기능-저비용의 디지털 라인을 먼저 세우자. 대표는 크리스텐슨의 파괴적 혁신 프레임을 적용했다. 고성능을 추격하지 말고 과도한 사양을 덜어내 고객의 해야 할 일에 직격하는 경량 솔루션을 제시하자. 그래서 목표를 세 가지로 좁혔다- 납기 단축 50퍼센트, 온라인 주문 전환 30퍼센트, 불량률 1퍼센트대. 모든 서류와 예산표는 이 세 KPI 달성에만 맞췄다.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disruption 관련 이미지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disruption 관련 이미지

사업 찾기와 타이밍-키워드와 캘린더를 제품처럼 운영

#사업검색#타이밍#keyword#calendar

이런 방법은 어때요- 지원사업을 일간 루틴으로 만들기. 대표는 키워드 세트를 정했다: 스마트공방, 제조혁신 바우처, 공정개선, 디지털 전환. 공고는 주 3회 모니터링하고, 마감 D-14에 1차 목차, D-7에 수치 보강, D-3에 증빙 스캔을 고정했다. 공모별 요구 산출물을 표준화 템플릿으로 만들어 재사용했고, 지자체-중기부-소진공 채널을 한 시트에 묶어 빈칸만 채우는 방식으로 속도를 올렸다.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keyword 관련 이미지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keyword 관련 이미지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calendar 관련 이미지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calendar 관련 이미지

제출서류는 데이터 스토리-As-Is와 To-Be를 수치로 잇다

#서류작성#데이터#baseline#target

새롭게 시도해보자- 문서를 서사로 쓰되 모든 문장을 숫자로 닫기. 레더랩은 As-Is를 납기 7일, 월 불량 2.1퍼센트, 온라인 수주 10퍼센트로 정의하고, To-Be를 3일, 0.9퍼센트, 40퍼센트로 제시했다. 비용-효과표에는 장비 1대, 바코드 리더 2대, 공정보드, 쇼핑몰 플러그인, 교육 12시간을 넣고, KPI별 기여도를 퍼센트로 배분했다. 마지막 장에는 12주 간트차트와 성과 측정 방법-샘플 수, 측정 주기, 책임자-를 명시했다.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baseline 관련 이미지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baseline 관련 이미지

실행은 핵심 공정 한 뼘-라이트라인으로 선제 구축

#공정개선#라이트라인#barcode#workflow

차별화하려면 처음부터 풀옵션을 지양하자. 레더랩은 재단-봉제-검수 중 병목인 재단만 자동화하고, 공정카드와 바코드로 체류 시간을 측정했다. 장비는 중급 레이저 커터로 선택해 납기 효과 대비 비용을 최소화했고, 온라인 주문 플러그인과 실시간 알림을 붙여 고객 대기 불안을 줄였다. 컨설팅은 결과물 구매 관점으로 관리했다- 공정지도, 표준작업서, 원가 시트, KPI 대시보드 4종을 납품물로 명시해 품질을 보장했다.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target 관련 이미지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target 관련 이미지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barcode 관련 이미지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barcode 관련 이미지

당장 따라 하는 7일 플랜과 최소 제출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신청서류#checklist#starter

Day1-키워드 알림 설정. Day2-과제 목적 한 줄로 요약. Day3-As-Is 데이터 3종 수집-납기, 불량, 매출. Day4-견적 2건 확보. Day5-To-Be KPI와 예산 배분. Day6-간트차트 작성. Day7-증빙 스캔과 업로드 리허설. 최소 제출서류는 사업자등록증, 최근 부가세 신고 또는 매출증빙, 과제 설명서 10쪽 내, 견적서 2건, 사진-도면, 개인정보 동의서. 시작 조건은 명확한 문제정의와 3개 KPI 설정이면 충분하다.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업무흐름 관련 이미지
지원금 공략 6개월 만에 반전 제조·공방 업무흐름 관련 이미지
#교훈#격려#lesson#inspiration

💡 이 사례의 핵심 교훈

지원사업은 운이 아니라 설계다- 문제정의와 숫자로 된 스토리, 가벼운 첫라인, 그리고 7일 루틴만 갖추면 누구나 반전을 만들 수 있다. 오늘 당장 As-Is 세 줄과 To-Be 세 줄부터 써보자.

공유하기:

📚 이런 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