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가게가 받을 수 있는지 먼저 확인하기
보조금은 차량 등록지 기준으로 다릅니다. 우리 구·군 공고와 차종별 지원 대상, 잔여 예산을 먼저 확인하세요. 영업용·비영업용 구분, 배터리 용량, 출고 기한이 걸림돌이 됩니다. 전화 한 통으로도 충분합니다. 구청 환경(또는 교통) 부서에 ‘사업자 등록 지역, 차종, 예상 출고일’을 말해 예산 잔량과 신청 창구를 확인해두세요.

서류는 묶음으로: 한 번에 준비 세트
필수 서류를 한 폴더로 묶어 지연을 막으세요. 기본: 사업자등록증, 대표 신분증, 통장사본. 차량: 견적서, 계약서(선구매 금지 문구 확인), 출고 예정일 확인서. 설치: 점포 임대차계약서 또는 등기부, 전기 증설 가능 확인(간단 확인서), 관리사무소 동의서(공용 설치 시). 파일명은 ‘날짜_서류명’으로 통일하면 담당자와 소통이 빨라집니다.


신청 순서 고정: 접수→승인→출고→등록
보조금은 보통 ‘신청 승인 후 출고’가 원칙입니다. 계약금을 서두르다 보조금 대상에서 빠지는 실수가 잦습니다. 접수 승인을 받은 뒤 출고·등록을 진행하세요. 출고 지연이 예상되면 즉시 담당자와 기한 연장 가능 여부를 확인합니다. 예산은 선착순일 때가 많아 ‘접수 시작일 오전’에 제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충전 지원은 동선부터: 밤 완속, 낮 급속 분리
점포 내 설치는 완속 1기면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주차 동선에 걸리지 않는 벽면을 정하고, 누전 차단기와 배선 길이를 미리 점검하세요. 건물 내 공용 설치는 관리사무소 동의가 핵심입니다. 낮에는 인근 공용 급속을 활용해 회전 속도를 높이고, 밤에는 완속으로 저렴하게 채웁니다. 직원 교대표에 ‘충전 담당’ 칸을 넣어 깜빡임을 막으세요.


💡 오늘 바로 실행하기
① 구청 담당부서에 전화해 ‘차종·출고일·예산’ 3가지만 확인 ② 서류 폴더 만들고 스캔본 6종(사업자증·통장·견적·계약·임대차·전기확인) 저장 ③ 신청 일정 캘린더에 알림 2회 설정(접수 전날·당일 오전) ④ 매장 평면에 완속 위치 표시·관리사무소 동의서 양식 요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