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 중심 소비와 오프피크의 기회
비수기는 수요가 줄지만 ‘이동하지 않는 고객’의 시간을 파고들면 기회가 됩니다. 2024년 국내 온라인 음식서비스 시장은 29.3조 원(+10.9%)으로 커졌고, 포장·픽업 투자도 확대됩니다. 특히 플랫폼의 포장 할인 활용 매장은 2024년 1월 대비 29% 늘었습니다. ([더퍼블릭][1])

#비수기#테이크아웃#pickup#trend
출근 2시간 공략: 2+1·픽업 우선화
사례① 출근시간대 테이크아웃: 한 도심 카페는 8~10시 ‘아메리카노 2+1·픽업 우선’으로 동선을 단순화하고 대기 시간을 4분 내로 고정했습니다. 컵 용량 표준화와 회전율이 핵심이었고, 정오 이전 매출 비중이 28%→41%로 상승해 비수기 완충 효과를 얻었습니다.

#오전러시#회전율#conversion#queue
편의점식 오프피크 프로모션 설계
사례② 편의점식 오프피크 프로모션: GS25는 시간·금액 조건형 픽업/배달 할인과 스탬프를 결합해 체류 없이 구매를 유도합니다. 음식·음료 소매도 같은 구조를 적용하면 ‘짧은 방문·높은 전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월간 테마 할인은 재방문 계기를 촘촘히 제공합니다. ([GS25][2])

#포장할인#스탬프#loyalty#off-peak
플랫폼 포장주문 동맹으로 객단가 방어
사례③ 플랫폼 포장주문 동맹: 배민은 포장주문 활성화를 위해 연간 300억 마케팅을 투입하고, 자율 할인·셀프 쿠폰 기능을 제공합니다. 독립 매장은 수수료 부담 없이 신규 유입을 얻고, 객단가는 ‘세트·패밀리팩’으로 방어했습니다. ([인더스트리뉴스][3])

#배달앱#포장주문#coupon#bundle
지역화폐·축제와의 콜라보 디자인
사례④ 지역 콜라보 이벤트: 지자체·관광공사와의 지역화폐·축제 연계는 비수기 교통량을 직접 높입니다. 전남 강진은 ‘반값여행’으로 1년 새 방문객 282만 명을 만들었고, 식당·카페 가맹점이 혜택의 핵심 통로가 됐습니다. ([다음][4])

#지역화폐#축제#collaboration#traffic
매출 증가의 숨은 요인: 시간·경로·로컬
인사이트: 비수기 매출의 본질은 ‘가격’보다 ‘시간대 재구성·경로 단순화·로컬 연계’입니다. 온라인 식품/외식 성장세는 2025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포장 중심 소비와 데이터 운영(전환율·재방문율)이 승패를 가릅니다. 네이버 예약·주문 통계로 오프피크 전략을 즉시 검증하세요. ([FIS 식품산업통계정보][5])

#재방문율#전환율#insight#analytics
#실천#행동계획#action#imple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