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 날 손님은 많지만 매장은 비어있다
거리엔 사람 넘치는데 결제는 뜸하고, 행사 끝나면 냉장고만 무겁습니다. 준비가 늦고 메시지가 흐리며, 동선이 복잡해 손님이 그냥 지나갑니다. 오늘은 ‘보이는 선택지’와 ‘짧은 시간’에 집중해 재고를 빠르게 현금으로 바꾸는 방법을 씁니다.

행사 캘린더 붙이고 핵심 품목 3개만 고르기
벽면 달력에 지역행사 날짜를 적고, 그날 잘 팔릴 품목 3개만 정하세요. 4주 전엔 후보, 1주 전엔 수량, 전날엔 가격을 확정합니다. 준비물은 달력, 유성펜, 포스트잇이면 충분합니다. 품목을 줄여야 메시지가 선명해지고 계산이 빨라집니다.


60분 한정 세트로 가격 단순화하기
현장 전용 세트를 3가지로 고정합니다: 균일가, 1+1, 마감가. 손글씨 피켓에 ‘지금부터 60분’ 타이머를 적고, 색 스티커로 세트별 구분을 줍니다. 계산대엔 현금거스름 통, 카드단말, 종이영수증 비치. 복잡한 옵션은 행사 시간엔 잠시 숨깁니다.

이웃가게와 종이쿠폰 교차 혜택 만들기
옆 가게와 ‘도장 2곳 찍으면 천원 할인’ 종이쿠폰을 맞교환하세요. 도장은 가게별 모양을 달리해 당일 개수로 정산합니다. 추가 비용 없이 서로 손님을 나눠 갖게 됩니다. 무리한 호객 대신, 계산대에 쿠폰 바구니를 두고 자연스럽게 안내하세요.


역할 나누고 동선 정리로 줄 막힘 없애기
입구 안내 1명(세트 설명), 계산 1명, 포장 1명으로 고정합니다. 줄은 바깥→계산→포장 한 방향으로 만들고 바닥 테이프로 표시합니다. 영수증에 세트코드만 메모해 마감 점검을 빠르게 합니다. 환불·교환 기준은 종이 한 장에 크게 붙여 분쟁을 줄이세요.

💡 오늘 바로 실행하기
① 벽면 달력에 지역행사 표시 ② 잘 팔릴 품목 3개 확정 ③ 60분 세트 가격 손글씨 피켓 제작 ④ 종이쿠폰·도장 준비 후 이웃가게와 합의 ⑤ 역할(안내·계산·포장) 배치와 바닥 동선 테이프 부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