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 스토리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수원 골목 도자기 공방이 지역축제 팝업·체험을 결합해 두 달 만에 월매출 280만→720만 원으로 반전한 이야기입니다. 준비·운영·사후 연결의 순서를 통해 누구나 적용할 실전 방법을 전합니다.

·11분 읽기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골목 공방, 축제를 기회로 바꾸다

#도자기#지역축제#festival#growth

수원 행궁동 골목의 1인 도자기 공방. 임대료 월 120만 원, 월매출 280만 원에서 멈춰 있었습니다. 주인장은 동네 봄·가을 축제에 늘 구경만 갔죠. 작년 가을, 그는 3×3m 팝업 부스(참가비 20만 원)에 ‘15분 핸드빌딩 체험’과 ‘굽지 않고 가져가는 소품’으로 구성을 바꿨습니다. 목표는 판매가 아니라 체험 100명, 연락처 120개 수집이었습니다.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festival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festival 관련 이미지

첫 실패: 예쁜 전시가 매출을 막았다

#전시과잉#방문자#display#lesson

처음 시도는 보기 좋았지만 팔리진 않았습니다. 테이블을 작품으로 꽉 채워 손님이 손댈 공간이 없었고, 결제 동선도 뒤엉켰죠. 하루 8시간에 체험 27명, 매출 21만 원. ‘멋’이 ‘경험’을 가로막은 겁니다. 주인장은 부스를 반으로 나눠 오른쪽은 체험, 왼쪽은 결제로 단순화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줄 세우기 표지와 계산대 위치만 바꿔도 흐름이 달라집니다.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growth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growth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display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display 관련 이미지

전환점: 15분 체험·2만 원 패키지

#체험패키지#회전율#package#flow

두 번째 날, 구성은 딱 세 가지: ① 15분 핸드빌딩(2만 원·키트 포함) ② 5분 색칠 소품(1만 원) ③ 완제품 3종(1.5만/2만/3만). 체험 6명당 1명은 완제품을 추가 구매하도록 ‘묶음 3만5천’ 제안을 고정 문구로 준비. 결과는 체험 118명, 완제품 41점, 일매출 86만 원. 체험 대기 비율을 15분 간격으로 끊어 회전율을 지켰고, 결제는 현금·간편결제만 허용해 속도를 올렸습니다.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lesson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lesson 관련 이미지

행사장 바로 옆, 픽업 동선이 성패를 갈랐다

#픽업연계#동선설계#pickup#route

굽는 품목은 행사 종료 후 일주일 뒤 수령이 필요합니다. 그는 행사장 200m 옆 카페와 손잡고 ‘픽업 포인트’를 만들었습니다. 카페는 음료 쿠폰 제공, 공방은 픽업 명단과 보관함을 운영. 손님은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며 수령했고, 카페는 신규 손님이 늘었습니다. 비용은 쿠폰 협찬으로 0원. 동선 설계 하나로 불편이 ‘재방문 이유’가 됐습니다.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package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package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flow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flow 관련 이미지

명함 대신 도장 카드, 재방문을 부르는 약속

#도장카드#재방문#stamp#return

명함은 잊히지만 약속은 남습니다. 체험 고객에게 ‘3회 도장 카드’를 나눠 줬습니다. 1회 체험, 2회 픽업, 3회 공방 방문 시 머그컵 소성 무료. 결과적으로 픽업이 끝이 아니라 시작이 되었고, 축제 종료 후 4주 동안 공방 방문이 73건, 클래스 예약 28건이 추가로 발생했습니다. 종이 한 장이 광고비보다 강했습니다.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pickup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pickup 관련 이미지

숫자로 본 성과: 두 달 만에 2.5배

#매출상승#지표개선#numbers#result

축제 주간 총투입비용 42만 원(부스 20, 키트 15, 소모품 7). 매출은 이틀 합계 152만 원, 원가·비용 제외 순이익 58만 원. 더 중요한 건 이후 6주입니다. 클래스 신규 32명(1인 6만 원), 완제품 추가 판매 54점(평균 2만2천 원). 월매출은 280만→720만 원으로 반전. 반복 가능한 구조가 만들어졌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route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route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stamp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stamp 관련 이미지

누구나 적용: 업종별 최소 세팅

#적용가이드#최소세팅#guide#starter

베이커리: ‘5분 아이싱 체험+하루 뒤 픽업’. 세탁소: ‘오염 테스트 체험+축제 후 하루 내 급세탁 쿠폰’. 수선집: ‘가죽 케어 10분 체험+한 달 내 무료 광택’. 공통 최소 조건은 세 가지입니다. 15분 내 끝나는 체험, 2~3단계 가격표, 행사장 근처 픽업·재방문 동선. 이 셋만 갖추면 첫 시도라도 흔들리지 않습니다.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return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return 관련 이미지

끝까지 남는 건 기술이 아니라 태도

#꾸준함#진정성#attitude#trust

행사는 반짝이고, 체험은 즐겁습니다. 그러나 고객이 기억하는 건 태도입니다. 기다리는 사람에게 먼저 물 한 컵을 건네고, 실패작도 ‘이 또한 추억’이라며 웃게 만드는 표정. 기술은 배우면 되고, 태도는 훈련해야 합니다. 30년을 돌아보면 살아남은 가게는 늘 ‘사람을 이기게 한’ 곳이었습니다. 축제는 그 마음을 보여 줄 무대일 뿐입니다.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numbers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numbers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result 관련 이미지
지역행사 체험으로 매출반전 제조·공방 result 관련 이미지
#교훈#격려#lesson#inspiration

💡 이 사례의 핵심 교훈

작은 체험·명확한 동선·재방문 약속, 이 세 가지가 지역행사를 매출 사다리로 바꿉니다. 오늘 한 칸부터 놓으세요. 길은 서두르지 않아도, 꾸준한 발걸음을 알아봅니다.

공유하기:

📚 이런 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