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폐 시즌, 불만은 냄새·답답함에서 시작
겨울엔 문을 닫고 히터를 켜니 손님 불만이 ‘냄새·건조·답답함’으로 몰립니다. 온도만 올리면 해결될 것 같지만, 공기 질이 나쁘면 체류시간이 줄고 뜨거운 음료 추가 주문이 줄어듭니다. 난방과 공기 관리를 한 세트로 묶어야 매출과 후기가 함께 좋아집니다.

#실내공기질#난방수요#trend#winter
사례1) 동네 카페의 13만원 투자, 월 24만원 순증
CO2 센서 1대, 미니 가습기 1대, 문틈 막는 테이프, A4 상태판(“지금 맑음·따뜻”) 준비에 13만원. 결과: 체류시간 +6분, 따뜻한 음료 비중 +8%, 전기요금 +2만원. 월매출 약 +60만원, 원가·광열 늘어난 후 순이익 +24만원. 핵심은 ‘보여주는 관리’입니다.


#가습기#센서표시#case#profit
사례2) 국밥집의 바람 길 정리, 회전율·평판 동시 개선
입구 바람막이 커튼, 히터 방향을 통로가 아닌 벽면으로 조정, 10분 환기 표식 부착. 김 서림과 냄새 민원 감소로 주당 불만 글 3건→1건. 도시가스 월 +1.5만원 늘었지만 점심 회전율 유지, 저녁 체류 증가로 매출 +5%. ‘바람 길 정리’가 난방비를 이깁니다.

#바람막이#환기주기#layout#review
실패사례) 온도만 올린 베이커리, 난방비 +18만원
히터 온도만 올리고 환기·습도 관리를 생략. 건조감과 냄새 후기가 한 달 7건 쌓였고, 난방비 +18만원에 비해 추가 판매는 없었습니다. 손님은 따뜻함만이 아니라 상쾌함을 원합니다. ‘온도 편향’은 비용만 늘립니다.


#건조감#후기악화#failure#lesson
숫자로 보는 효과: 작은 비용, 큰 체류시간
가정: 하루 100팀, 객단가 1만2천원. 공기·난방 세트로 체류 +5분이면 추가 주문률 3~5%p 상승, 테이블당 400~800원 추가. 일매출 +4만~8만원. 전기·가스·소모품 증가는 하루 1만~2만원. 순이익 +2만~6만원/일, 20일 기준 +40만~120만원이 현실적입니다.

#체류시간#추가주문#math#margin
보여주는 관리: 수치 공개와 좌석 구역화
CO2 700~900ppm, 온도 21~23도, 습도 40~50%를 A4 상태판에 표시하고 매시 정각에 체크. 문가 ‘따뜻존’, 창가 ‘산뜻존’으로 좌석을 구역화해 선택권을 줍니다. 뜨거운 메뉴 보드 노출을 강화하면 따뜻한 음료·국물류가 자연스럽게 늘어 단가가 올라갑니다.


#수치표시#좌석구역#display#zoning
💡 실천 포인트
💡 실천 포인트: ① 오늘 13만원 세트(센서·가습기·틈막이·A4판) 마련해 출입구 옆 배치 ② 정각 알람 설정 후 ‘환기 3회·건조 3곳·필터 털기’ 루틴 고정 ③ 좌석을 ‘따뜻존/산뜻존’으로 나누고 CO2·온도·습도 수치를 손님이 보게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