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 폭주·혼선…진료·결제 엇박자
#원격진료#문제점#telemedicine#risk
원격진료 문의가 늘면서 전화가 겹치고, 환자 확인·동의 절차가 제각각이라 기록 누락과 개인정보 노출 위험이 생깁니다. 수납 지연으로 매출도 흔들립니다. 오늘은 최소 비용으로 흐름을 단순화해 리스크와 미수금을 함께 줄여보세요.

1장짜리 비대면 프로토콜 만들기
#본인확인#동의서#protocol#consent
안전하게 접근하려면 프로토콜을 1장으로 정리하세요. 본인확인→진료 가능여부 분류→대면 전환 기준→응급 안내→동의·녹취 저장 순서입니다. 구글 폼으로 동의·문진을 받고, 드라이브에 날짜·이니셜 폴더로 자동 저장되게 설정하세요.


예약–문진–대기–결제 흐름 자동화
#예약#결제#workflow#template
예약 링크와 사전 문진 폼을 연결하고, 알림톡/문자 템플릿으로 접속 방법·대기 순서를 표준화하세요. 결제는 진료 직후 간편결제 링크를 발송해 미수금을 줄입니다. 반복 문구는 복사본으로 만들어 직원 누구나 동일하게 발송하게 하세요.

기록·보안·청구 표준화로 리스크 축소
#기록관리#보안#EMR#backup
위험을 줄이는 방법은 기록 표준화입니다. EMR 원격진료 서식을 사용하고, 없으면 스프레드시트(날짜·환자·증상·판단·처방·상담시간) 템플릿을 쓰세요. 주 1회 외장 백업, 접근권한 최소화, 변경기록 남기기로 유출·분쟁을 예방하세요.


#실행#체크리스트#action#checklist
💡 오늘 바로 실행하기
① 1장 프로토콜 초안 작성 ② 구글 폼 문진·동의 생성 및 드라이브 자동저장 ③ 예약 링크–알림 템플릿 연결 ④ 진료 직후 결제 링크 발송 테스트 ⑤ 주 1회 백업·권한 점검 루틴 설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