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이 있는 경영학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법 준수는 비용이 아니라 신뢰와 수익의 기반입니다. 근로계약 표준화, 근무표 설계, 원가-가격 연결로 6개월 내 인건비 효율과 직원 만족도를 함께 올리는 실전 로드맵을 제시합니다.

·13분 읽기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법은 비용이 아니라 약속, 설계로 지키면 돈이 남는다

해봤더니, 법 어기지 말자는 얘기가 아닙니다. 실전에서는 ‘약속을 지키는 구조’를 만들어야 과태료·분쟁·이직 비용이 안 샙니다. 드러커가 말한 목표에 의한 관리는 사람을 숫자로 누르는 게 아니라, 일을 명확히 정의해 스스로 성과를 내게 돕는 장치입니다. 인사정책은 규정이 아니라 설계도입니다.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foundation 관련 이미지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foundation 관련 이미지
경영본질신뢰자본principlefoundation

원칙 1: 법·사람·숫자를 한 줄로 잇는 단일 지표

실제로는 ‘시급→노무원가/판매단위→메뉴별 마진’이 한 줄로 보이면 의사결정이 빨라집니다. 주휴·연장·야간 단가를 반영한 표준시산표를 만들고, 매주 ‘노무원가율(인건비/매출)’과 ‘근로시간 준수율’을 같이 봅니다. 숫자와 준법이 충돌할 때는 스케줄을 바꾸지, 사람을 갈아 넣지 않습니다.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metric 관련 이미지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metric 관련 이미지
단일지표가시화metricalignment

원칙 2: 스케줄은 전략—피크 전후로 끊고 휴게는 설계한다

경험상 문제는 ‘누가 몇 시에 있느냐’에서 나옵니다. 피크 30분 전 조기 투입, 피크 직후 20분 휴게, 마감 전 40분 휴게로 끊으면 연장근로가 확 줄어요. 주 15시간·개근 요건, 4/8시간 휴게 원칙을 표준 시프트에 내장해 누락·과지급을 예방합니다. 스케줄이 곧 준법이며, 준법이 곧 원가관리입니다.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alignment 관련 이미지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alignment 관련 이미지
근무표휴게설계rosterbreak

원칙 3: 다기능 인력으로 공백을 메우는 커버리지 매트릭스

실제로는 한 사람이 아프면 매장이 흔들립니다. 포지션을 ‘필수·보조’로 나누고, 각 포지션별 2인 이상 교차 숙련도를 표로 관리하세요. 신입 4주차에 보조 포지션 한 칸을 열고, 8주차에 필수 포지션을 인증하면 갑작스런 결근에도 연장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인력 공백 대비가 이익을 지킵니다.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roster 관련 이미지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roster 관련 이미지
다기능화대체인력cross-trainingcoverage

사례 1: 카페 주말 피크 2라인→1.5라인, 연장 22→6시간

부산 센터 상권 카페, 주말 대기줄에 연장이 터지던 곳입니다. 샷·스팀·서빙 3분업을 샷+서빙 통합 ‘1.5라인’으로 재설계하고, 피크 30분 전 파트타임을 투입했습니다. 주말 연장 22시간→6시간, 노무원가율 32%→27%. 실무 팁은 메뉴 단순화 3종과 픽업 동선 테이핑—이게 사람 시간을 아껴줍니다.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break 관련 이미지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break 관련 이미지
카페사례라인개편throughputovertime

사례 2: 식당 주휴 충족 재배치, 월급예측이 안정됐다

퇴근 시간 변동이 심한 식당에서 주 14~16시간 띄엄띄엄 근무자가 많아 분쟁 소지가 컸습니다. 스케줄을 주 12·18시간형으로 단순화하고 개근 체크를 자동화했더니 주휴 지급이 명확해졌고, 월 급여예측 오차가 18%→5%로 줄었습니다. 사람의 기대가 예측되면 신뢰가 쌓입니다.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coverage 관련 이미지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coverage 관련 이미지
식당사례주휴관리forecaststability

사례 3: 편의점 야간 단독 최소화, 안전과 원가를 함께

야간 단독은 사고·이탈·연장의 온상입니다. 실외 쓰레기·진열은 23시 이전 완료, 야간엔 결제·검수만. 새벽 물류 시간엔 2인 겹침 90분을 배치하니 클레임과 재고차가 줄고, 야간 폐기율이 개선됐습니다. 인건비 비중은 1.8%p 올랐지만 손실 감소로 총이익률은 0.9%p 상승—숫자가 답했습니다.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overtime 관련 이미지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overtime 관련 이미지
편의점사례야간근무safetymix

3개월 플랜: 표준계약·근무표 리디자인·파일럿 A/B

1개월차: 전자 근로계약·임금명세 템플릿 확정, 서류 3년 보존 체계를 폴더 규칙으로 고정. 2개월차: 피크 기준 표준 시프트(오픈·미드·클로즈)와 휴게 분할을 설계. 3개월차: 매장 30%에 파일럿 적용해 노무원가율·준법지표·리뷰 점수를 A/B로 비교, 효과가 검증되면 전체 확장합니다.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forecast 관련 이미지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forecast 관련 이미지
표준계약파일럿standardABtest

6개월 플랜: 크로스 트레이닝·예측·가격 재설계

4~5개월차: 커버리지 매트릭스로 다기능화를 운영표에 반영, 포지션별 인증제 도입. 6개월차: 시급·수당 변동을 반영한 ‘메뉴별 표준시간×단가’로 원가를 재산정하고, 마진 50% 미만은 레시피·가격·세트 구성으로 수정합니다. 고객 경험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숫자가 말하는 개편을 합니다.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stability 관련 이미지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stability 관련 이미지
크로스트레이닝예측모델trainingforecast

점검 체계: 주 단위 ‘3색 신호등’으로 리스크를 앞당겨 본다

경험상, 망하는 건 한 달 만에 오지 않습니다. 주간 노무원가율·근로시간 준수율·이직 징후(결근·교대요청)를 녹·황·적 신호등으로 표시해 팀과 공유하세요. 적색이 두 주 연속이면 스케줄·역할·휴게를 즉시 손봅니다. 숫자는 사람을 위해 존재하고, 사람은 약속을 지켜 매장을 지킵니다.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safety 관련 이미지
최저임금 시대 인사정책 설계법 일반·공통 safety 관련 이미지
주간점검리스크dashboardsignals
💡 실천 로드맵
0~2주: 전자 계약·임금명세 템플릿 고정, 표준 폴더로 보존 체계 구축. 3~6주: 피크 기준 시프트와 휴게 분할 설계, 주휴·연장 단가 반영. 7~12주: 파일럿 A/B로 노무원가율·준법지표 개선 검증, 커버리지 매트릭스 도입. 마음가짐은 단순합니다—사람의 시간을 아끼는 설계가 장기 이익을 만듭니다.
공유하기:

📚 이런 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