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 스토리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부산 12평 공방이 모듈형 자석 조명으로 7개월간 MVP-검증-피벗을 거쳐 월매출 900만원 적자에서 3,200만원 흑자로 전환한 실전 사례. CAC·BOM·마진을 숫자로 통제하며 PMF 지표를 확보한 과정을 단계별로 공유합니다.

·12분 읽기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부산 공방의 ‘라이트브릭’, 숫자로 말한 현재

#모듈조명#자석결합#MVP#PMF

부산 사상구 12평 공방에서 모듈형 자석 조명 ‘라이트브릭’을 만든 김대표. 2024년 말 하루 3~5대 판매, 월매출 900만원에 영업손실 -180만원. 2025년 7개월간 MVP→검증→포지셔닝 재정의로 월매출 3,200만원, 매출총이익률 28%→46%, 월 현금흐름 +420만원으로 반전했다. 주고객은 카페·숙박업 인테리어 교체 수요로 명확해졌고, 평균 주문단가는 7.8만원→12.6만원으로 상승했다.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churn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churn 관련 이미지

초기 실패: 반짝 매출 뒤 반품과 마진 붕괴

#반품률#마진#churn#refund

런칭 첫달 SNS 버즈로 1,200만원을 팔았지만 반품률 12%, 불량률 6%가 치명적이었다. BOM이 5.6만원인데 7.9만원에 팔아도 포장·광고비 포함 공헌이익이 거의 0. NPS는 6, 설치 난이도 불만이 누적됐다. CAC는 27,000원으로 높았고 재구매율 7%에 그쳐 LTV/CAC가 2 미만. ‘예쁘다’는 피드백은 많았지만 지갑을 여는 이유가 약했다.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refund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refund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interview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interview 관련 이미지

전환의 계기: 20명 심층인터뷰가 밝혀준 용도

#고객인터뷰#페르소나#interview#persona

우리는 구매·반품 고객 20명을 40분씩 인터뷰했다. 핵심 인사이트는 ‘집보다 매장’이었다. 카페·게스트하우스 운영자는 설치 난이도와 유지보수, 교체 리드타임을 가장 중시했다. 또한 테이블 조명은 충전·분실·배선 문제가 반복되어 총소유비용(TCO)이 높았다. 즉, 감성 조명보다 ‘운영비 절감형 매장 솔루션’이 정답이었다.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persona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persona 관련 이미지

결정적 선택: B2C에서 매장용 B2B2C로 피벗

#채널전환#가격전략#pivot#bundling

우리는 일반 소비자 판매 비중을 70%→30%로 낮추고, 카페·숙박업 대상 세트 번들(기본 6개+허브 전원+앵커)를 79,000원 단품에서 119,000원 세트로 전환했다. 설치를 자석 브라켓 원터치로 바꾸고 배선을 모듈 허브로 표준화했다. 가격은 올렸지만 설치시간 18분→6분, 유지비 30% 절감 가치를 앞세워 ‘가격 대비 비용절감’ 메시지로 재포지셔닝했다.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pivot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pivot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bundling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bundling 관련 이미지

MVP 루프 3회전: 측정 가능한 가설만 테스트

#가설검증#실험설계#build#measure

3주 주기로 빌드-측정-학습을 3회 반복했다. 1차는 ‘설치시간 50% 단축’ 가설(A/B: 브라켓 형상), 2차는 ‘단가↑ 대신 불량↓’ 가설(커넥터 등급 변경), 3차는 ‘세트 번들·정액 AS’ 가설(월 4,900원). KPI는 설치시간, 초기불량률, 30일 재구매율. 결과적으로 설치시간 -66%, 초기불량률 6%→1.8%, 30일 재구매율 7%→18%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build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build 관련 이미지

유닛 이코노믹스 재설계: BOM 21% 절감과 공정 단순화

#BOM절감#공정개선#unit#economics

부품 공용화로 SKU를 42→19개로 줄이고, 알루미늄 압출 바디를 금형 전환해 원가를 5.6만원→4.4만원으로 낮췄다(-21%). 작업자 1인 택트타임을 11분→6분으로 단축, 월 생산 600→1,200대로 확대. 포장재를 재활용 완충재로 대체해 단가 -700원, 파손률 -60%. 이로써 공헌이익이 대당 2.3만원→4.8만원으로 상승, 광고 포함 손익분기 매출은 1,450만원→1,020만원으로 내려갔다.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measure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measure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unit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unit 관련 이미지

채널·리텐션: CAC 절반, LTV는 2.3배 키우다

#리텐션#구독모듈#CAC#LTV

도매협력과 시공사 리퍼럴을 열어 CAC 27,000원→12,000원(-56%). 세트 번들로 초기 마진을 확보하고, 교체 모듈·확장 브릭을 월 구독(4,900원)으로 전환해 월 ARPU +3,100원. 6개월 LTV는 68,000원→154,000원, LTV/CAC 1.9→3.7로 개선. 반품률 12%→3.2%, NPS 6→43, 리드타임 7일→3일, 설치 지원 티켓은 주문 100건당 14건→5건으로 줄어들었다.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economics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economics 관련 이미지

당장 적용: 소상공인형 PMF 체크리스트 5단계

#체크리스트#적용법#playbook#steps

① 고객용도 재정의: 구매·반품 고객 15~20명 인터뷰로 ‘집 vs 매장’ 같은 1순위 사용 맥락 확정. ② 측정 가능한 가설 3개만 선정: 설치시간·불량률·재구매율처럼 비용과 직결된 지표로 한정. ③ 번들·가격 실험: 단품 대신 세트 기준으로 공헌이익을 계산해 손익분기 매출을 낮출 것. ④ 유닛 이코노믹스: BOM 상위 20% 부품부터 공용화·금형화, 택트타임 표준작업서로 절감. ⑤ 채널 믹스: 도매·시공사·입점으로 CAC를 분산하고, 소모품·확장모듈을 구독형으로 전환.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CAC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CAC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playbook 관련 이미지
MVP로 7개월 만에 PMF 달성 제조·공방 playbook 관련 이미지
#교훈#격려#lesson#inspiration

💡 이 사례의 핵심 교훈

수익이 최우선이라면 ‘예쁜 제품’이 아니라 ‘숫자로 증명된 용도’가 먼저입니다. 인터뷰로 용도를 재정의하고, 측정 가능한 가설 3개만 돌리며, 공헌이익 기준으로 가격·번들을 설계하세요—작은 MVP라도 올바른 지표를 잡으면 7개월이면 충분합니다.

공유하기:

📚 이런 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