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애매한 조항이 비용을 키운다
분석 결과, 대관계약의 분쟁은 ‘모호한 범위’에서 발생합니다. 원상복구 기준, 소음·안전 책임, 지연배상 등이 추상적이면 사후 해석 싸움이 됩니다. 계약서에 수치·기한·범위를 적시해 해석 여지를 줄이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핵심1: 목적·시간·소음 기준을 수치화하기
대관 목적(전시/공연/촬영), 사용구역, 시간대를 표로 고정하세요. 소음은 데시벨(dB) 한도와 측정 위치를 명시하고, 초과 시 경고→중지 절차를 단계화합니다. 부수사용(창고, 주차)은 포함·제외를 구분해 추가요금을 사전 기재하세요.


핵심2: 시설·사용자 과실 책임을 분리하기
시설 결함은 임대인, 사용자 과실은 임차인 책임으로 구분하고, 간접손해·영업손실은 배제하거나 상한을 둡니다. 화재·사고 대비를 위해 사용자 배상책임보험 가입증을 제출하게 하고, 미제출 시 해지·보증금 차감 조건을 명문화하세요.

핵심3: 손해배상·보증금·해지를 공식화하기
보증금은 ‘손해액 산정 후 잔액 환급’ 방식을 적고, 위약금은 회차별 고정액 또는 대관료의 일정 비율로 상한을 둡니다. 해지는 통지 기한(예: 7·14일)과 환불율 표를 두고, 천재지변·행정명령은 수수료 없이 연기·환불하도록 예외조항을 넣으세요.


핵심4: 증거·지불·승인을 디지털로 남기기
입퇴실 전후 사진·영상 촬영, 체크리스트 서명, 전자서명·계약버전 이력, 계좌영수증을 한 폴더에 보관하세요. 추가사용·시간연장은 문자·메신저가 아닌 양식 링크로 신청·승인하게 만들어 기록을 표준화하면 사후 분쟁 비용이 급감합니다.

💡 오늘 바로 실행하기
① 목적·구역·시간·소음기준을 표로 작성 ② 시설/사용자 과실 책임·보험증 제출 조항 추가 ③ 위약·환불 표와 해지 통지 기한 명시 ④ 입퇴실 사진·서명·영수증의 폴더 규칙 만들기 ⑤ 추가사용 승인 절차를 링크 양식으로 통일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