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에 특히 터지는 세 가지 오해
“선물이라 포장 뜯었지만 미사용이니 전액 환불” “예약 하루 전 취소인데 무조건 가능” 같은 말이 몰립니다. 가게마다 기준이 다르고 안내가 제각각이라 생기는 오해예요. 말로 설명하면 매번 길어지고 직원마다 답이 달라집니다. 그래서 누구나 30초 안에 같은 답을 줄 수 있는 ‘한 장 정책표’가 필요합니다.

기준표 만들기: 상황별 문장 6줄로 끝
종이 한 장에 상황별 문장을 딱 6줄만 적으세요: ① 예약 취소 마감시점 ② 지각·노쇼 처리 ③ 미개봉 환불 ④ 개봉·사용 후 처리 ⑤ 맞춤제작·식품 등 제외 ⑥ 하자 발생 시 교환·환불. 문장은 짧게, 예: “예약 하루 전까지 전액, 당일 취소는 수수료 ○%”처럼요. 근거 문구로 ‘공정위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을 따릅니다’ 한 줄을 넣어 신뢰를 주세요. ([서초구청][1])


보이는 곳에 붙이기: 계산대·포장지·영수증
정책표는 눈에 띄는 곳에 붙여야 힘을 발휘합니다. 계산대 앞 스탠드, 포장 상자 안쪽, 영수증 하단에 같은 문구를 반복해 넣으세요. 예약금 받을 때는 영수증에 취소 마감시점을 함께 적고, 선물 포장엔 ‘미개봉 환불 가능/제외 품목’ 스티커를 붙입니다. 직원은 손가락으로 표를 가리키며 같은 문장을 읽기만 하면 됩니다.

예외 처리 장부: 분쟁을 ‘기록’으로 예방
연말엔 선물 사연이 다양해 예외가 생깁니다. 억지로 싸우지 말고 ‘예외 처리 장부’를 쓰세요. 이름·연락처·구매일·상황·약속 내용(기한/금액)을 한 줄로 기록하고 사진 찍어 보관합니다. 다음에 같은 손님이 와도 장부만 보면 누구나 같은 대응이 가능합니다. 기록은 분쟁 전화가 와도 1분 내 정리해주는 최고의 방패입니다.


💡 오늘 바로 실행하기
① ‘한 장 정책표’ 초안 쓰기(상황 6줄) ② 계산대·포장·영수증에 같은 문구 붙이기 ③ 예약금 영수증에 취소 마감시점 필수 표기 ④ 예외 처리 장부 만들고 첫 건 기록 ⑤ 직원 5분 브리핑: 표 읽기 연습 2회. 필요할 땐 공정위 ‘소비자분쟁해결기준’ 최신본을 확인해 문구를 보완하세요. ([서초구청][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