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이 있는 경영학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플라스틱 규제와 생활 트렌드 변화 속, 리필·재사용 모델을 시스템 관점으로 설계해 비용·신뢰·속도를 동시에 높이는 방법과 3–6개월 실행안을 제시합니다.

·13분 읽기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쓰레기를 줄이며 이익을 낼 수 있을까

고객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제로웨이스트는 ‘착한 일’이 아니라 ‘삶의 불편을 바꾸는 선택’이에요. 사장님 입장에선 질문이 달라집니다. 쓰레기를 줄이면서도 시간·비용·신뢰를 어떻게 함께 줄이고 늘릴까? 시스템 사고로 보면 해답은 점이 아니라 흐름에 있습니다. 우리는 제품보다 ‘용기 이동 경로, 보상, 데이터’라는 관계의 회로를 설계해야 합니다.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시스템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시스템 관련 이미지
본질딜레마systemecosystem

재고·흐름으로 설계하는 그린수익

메도우즈는 시스템을 재고(stocks)와 흐름(flows), 피드백으로 봅니다. 리필·재사용 모델도 같아요. 빈용기 재고, 회수 속도, 세척 용량이라는 세 개의 흐름이 병목을 만듭니다. 함께 상생하려면, 초기에는 SKU를 10종 이하로 제한하고, 회수 주기(예: 3일)와 세척 사이클(하루 2회)을 고정해 변동성을 낮추세요. 지연을 줄이면 신뢰가 자랍니다.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stocks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stocks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flows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flows 관련 이미지
재고흐름stocksflows

총소유비용(TCO)과 포터의 가치사슬

포터의 가치사슬로 보면 비용은 구매 순간이 아니라 사용·회수·세척·재충전 전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마음을 얻으려면 고객의 총소유비용(TCO)을 낮춰야 해요. 단위 가격 인하보다 ‘근접성’이 더 큽니다. 동선 5분, 리필 시간 1분, 잔여량 센서·QR 기록으로 ‘걱정 비용’을 없애면 재방문이 플라이휠처럼 돌기 시작합니다.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TCO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TCO 관련 이미지
총소유비용가치사슬TCOvalue chain

작은 규칙이 만드는 큰 행동: 보증금과 플라이휠

짐 콜린스는 플라이휠을, 드러커는 “측정되는 것은 개선된다”고 말했죠. 작은 규칙이 행동을 만듭니다. 보증금은 단순 가격이 아니라 ‘되돌아오는 약속’이에요. 예: 보증금 1,000원+반납 즉시 포인트 200, 5회 반납 시 무료 세척 쿠폰. 목표는 회수율 85% 이상, 순환 리드타임 72시간 이내. 측정-피드백-보상 고리를 매장에서 매주 공개하세요.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value chain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value chain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deposit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deposit 관련 이미지
보증금플라이휠depositflywheel

동네 세제 리필 바의 한 달 실험

한 동네 세제 리필바의 한 달 실험을 보았어요. 첫 주엔 제품 20종으로 시작해 재고·세척이 얽혀 대기줄이 길었습니다. 2주 차에 상위 6종으로 축소하고, 용기 규격을 500ml 하나로 통일하니 리필 시간이 63% 줄었고 누출 클레임도 절반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고객은 “빠르고 깔끔하다”는 경험을 기억합니다. 신뢰는 속도로 번집니다.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flywheel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flywheel 관련 이미지
리필바실험refillpilot

보증금 컵과 지역 축제의 순환

지역 축제에서 재사용 컵을 도입할 때, 고객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가장 큰 불편은 반납 위치를 모르는 일입니다. 반납함을 150m마다 배치하고, 지도 QR을 포스터에 붙였더니 회수율이 92%까지 올랐습니다. 상인회는 세척 파트너와 전력·급수 피크 타임을 공유해 병목을 줄였고, 축제 후 쓰레기 수거 비용이 40% 가까이 절감됐습니다.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refill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refill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pilot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pilot 관련 이미지
재사용컵축제reusableevent

다회용 용기 배송 스타트업의 교훈

배달 다회용기 실험에선 물류 동선이 관건이었습니다. 라이더가 픽업-배달-회수까지 맡으면 리드타임이 길어졌죠. 역할을 나눠 ‘배달’과 ‘빈용기 수거’ 루트를 분리하고, 수거는 저녁 9시 이후 일괄 방문으로 묶으니 회수 성공률이 올랐습니다. 그리고 세척 품질 표준(온수 80℃·세제 농도·건조 시간)을 카드뉴스로 공개해 불안을 낮췄습니다.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reusable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reusable 관련 이미지
다회용기물류reusablelogistics

3개월 로드맵: 공간·공정·고객 정렬

3개월 로드맵은 공간·공정·고객의 정렬입니다. 0–2주: 상위 리필 품목 5–8종 선정, 표준 용기 1–2규격 확정, 세척 파트너 파일럿 체결. 3–6주: 카운터 동선 재배치(리필·결제 분리), 반납함 3곳 설치, 보증금·포인트 정책 론칭. 7–12주: 주 1회 데이터 보드 공개(회수율·리드타임·불량), 불량 원인-개선 실험을 한 번에 하나씩 실행합니다.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event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event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logistics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logistics 관련 이미지
로드맵정렬processalignment

6개월 로드맵: 데이터·파트너·확장

6개월 로드맵은 데이터·파트너·확장입니다. 3–4개월: 지역 학교·회사와 ‘정기 리필 데이’ 제휴, 대용량 리필(3L) 도입으로 재충전 횟수 감소. 5–6개월: 회수율 85% 미만 구역은 반납함 위치를 조정하고, 고객 스토리 캠페인으로 참여 이유를 공유합니다. 마지막으로 LCA(전과정평가) 요약을 매장에 붙여 ‘우리가 함께 줄인 것’을 눈에 보이게 만드세요.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프로세스 관련 이미지
리필·재사용이 여는 동네기회 일반·공통 프로세스 관련 이미지
데이터확장metricspartnership
💡 실천 로드맵
1) 첫 달엔 품목 축소·규격 통일·보증금 설계로 변동성부터 줄이세요. 2) 둘째 달엔 반납함 밀도와 세척 용량을 맞추며 ‘회수율 85%·리드타임 72시간’ 두 지표만 집착적으로 관리합니다. 3) 셋째 달엔 파트너십과 스토리 캠페인으로 참여 동기를 키우세요. 변화는 하루아침에 오지 않습니다. 주 1회 데이터 보드를 공개하고, 실패를 작게·빠르게 겪어 배우는 마음가짐이 상생을 가속합니다.
공유하기:

📚 이런 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