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이 마르는 진짜 이유 파악
#재고압박#현금흐름#cashflow#stockout
경험상 적자일 때 창고는 꽉 차 있더군요. 과재고는 현금을 묶고, 품절은 매출을 날립니다. 지난 8주 판매수량과 입고주기, 납기 지연일을 한 시트에 적어 변동폭부터 보세요. 체감이 아니라 숫자로 봐야 손이 멈춥니다.

안전재고=수요×리드타임 변동
#안전재고#납기변동#safetystock#leadtime
복잡할 필요 없습니다. 일평균 판매수량×최근 납기 지연일 평균에 1.5를 곱해 ‘간이 안전재고’를 정하세요. 예: 10개×2일×1.5=30개. 공급불안 품목은 계절성 20% 가산, 반대로 안정 품목은 20% 감산해 민첩하게 조정합니다.

발주 주기 ‘주 1회’로 고정
#발주주기#물류비#ordercycle#bundling
비용을 줄이려면 발주 빈도를 줄이고 묶어 보내는 게 답입니다. 주 1회 요일 고정, 최소주문단위(MOQ)와 무료배송 기준을 동시에 충족하도록 장바구니를 구성하세요. ABC로 A품목은 매주, B는 격주, C는 월1회로 쪼개면 운임이 내려갑니다.

구매단가보다 ‘총원가’ 비교
#총원가#자금비용#landedcost#financing
수익률로 보면 핵심은 단가가 아니라 총원가입니다. 단가+운임+포장비+불량률+결제조건(선결제 할인/후불 이자)을 합산하세요. 재고자금 이자는 월 0.5%로 잡아 60일 보관 시 1%를 더합니다. 싼 단가라도 보관이 길면 비쌉니다.

#실행#체크리스트#action#checklist
💡 오늘 바로 실행하기
① 8주 판매·입고·지연일 스프레드시트 작성 ② 간이 안전재고(수요×지연×1.5) 계산 ③ 주 1회 발주 요일 고정·MOQ/무료배송 동시 충족 ④ A/B/C 발주 빈도 분리 ⑤ 단가가 아닌 총원가 표로 납품처 2곳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