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이 있는 경영학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데이터에 따르면 세제·소모품 비용은 매출의 6~12%를 차지합니다. 통계적으로 재고앱은 회전일수와 폐기율을 동시에 낮춥니다. 청소업에 맞춘 앱 유형 비교와 도입 절차, 핵심 지표를 정리했습니다.

·13분 읽기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문제의 본질: 재고가 아니라 가용성

분석 결과 클레임의 다수는 ‘없어서 못 쓰는 순간’에서 발생합니다. 사업의 본질은 창고에 있는 양이 아니라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가용성입니다. 포터 관점에서 보면 대체재(급한 비상구매, 브랜드 임의교체)는 비용과 평판을 동시에 악화시킵니다. 따라서 재고앱의 목적은 수치장부가 아니라 결품을 예측·방지하는 운영 체계입니다.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downtime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downtime 관련 이미지
#본질정의#가용성#availability#downtime

원칙1: 표준화가 경쟁우위를 만든다

드러커가 말한 대로 측정과 표준이 성과를 만듭니다. 용량 단위(ml↔L), 포장 단위(낱개↔박스), 현장 코드(작업차 트레이 번호)를 통일하면 구매자 교섭력과 오류비용이 동시에 줄어듭니다. 앱 선택의 첫 기준은 이 표준을 데이터 모델로 강제할 수 있느냐입니다. 바코드·단위변환·키트구성(세제+극세사+장갑 세트) 지원 여부를 확인하세요.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standard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standard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UoM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UoM 관련 이미지
#표준운영#단위통일#standard#UoM

앱 유형 맵: 네 가지 중 무엇을 쓸 것인가

① 스프레드시트형: 저비용·커스터마이즈 강점, 스캔·오프라인 약함. 1~3인 팀의 시작형. ② 모바일 바코드형: 카메라 스캔·알림 강점, 보고서는 제한적. 3~8인 현장형. ③ 다중창고형: 차량/창고/거점 간 이동·반납 추적 탁월. 5대 이상 차량 운영 시 유리. ④ 회계연동형: 매입·재고 자동연동으로 월마감이 빨라지지만 초기 세팅이 무겁습니다. 팀 규모·차량 수·보고 필요 수준으로 유형을 고르세요.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spreadsheet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spreadsheet 관련 이미지
#유형비교#선택기준#spreadsheet#barcode

원칙2: 결품 알림이 곧 수익 방어막

통계적으로 결품 1회는 비상구매와 재방문 지연을 불러 순이익을 깎습니다. 앱은 품목별 최소/최대치(Min/Max)와 보충리드타임을 설정해 ‘D-3일 예상 결품’ 알림을 보내야 합니다. 세정·소모품은 ABC-XYZ로 분류해 A/X(고액·변동적)만 일 단위, B/Y는 주 단위, C/Z는 월 단위로 점검 주기를 차등화하면 알림 피로를 줄이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barcode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barcode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threshold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threshold 관련 이미지
#미니맥스#알림임계#min-max#threshold

필수 기능 체크리스트: 청소업 전용 관점

필수는 다섯 가지입니다. ① 바코드 생성·인쇄(자체 라벨) ② 유통기한·개봉일 트래킹(표백제 등) ③ 단위 변환(원액→희석액 산식) ④ 키트 구성/분해(세트 출고 후 개별 재고 환원) ⑤ 오프라인 모드(지하 주차장·통신음영). 여기에 사진첨부(누수·파손 증빙)와 사용자 권한(파트타임은 출고만 가능)까지 되면 현장오류가 급감합니다.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expiry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expiry 관련 이미지
#유통기한#키트구성#expiry#bundle

비용 구조: 도입비보다 운영비를 보라

가격은 사용자 수, 스캔 건수, 창고 수로 계단식입니다. 총소유비용(TCO)은 ‘월 구독료+라벨/프린터+교육시간+오류비용’으로 계산하세요. 분석 결과 라벨프린터 1대와 표준 라벨 3종(자산, 소모품, 유통기한)을 갖추면 분실률이 30% 이상 감소합니다. 도입비가 아니라 6개월 누적 운영비와 절감효과로 ROI를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bundle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bundle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TCO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TCO 관련 이미지
#총소유비용#사용자수#TCO#scalability

시나리오별 추천: 팀 규모로 단순 결정

1~3인: 스프레드시트+모바일 스캔 앱 조합(입·출고만). 4~8인: 모바일 바코드형+Min/Max 알림. 차량 5대 이상: 다중창고형으로 이동/반납 추적. 회계연동 필요: 매입전표 자동생성 지원 앱. 데이터에 따르면 이 규칙만으로 초기 시행착오의 70%를 줄일 수 있습니다.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scalability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scalability 관련 이미지
#의사결정#규모기준#scenario#team

초기 세팅: 20% 품목이 80% 문제를 만든다

처음부터 전 품목 등록은 비효율입니다. 사용액 기준 상위 20% 품목만 마스터 등록하고, 나머지는 입고 시 점진 등록하세요. 바코드 라벨은 위치(차량 트레이/현장 캐비닛)에도 부착해 ‘물건이 아니라 위치’를 스캔하는 동선을 만들면 오기재가 급감합니다. 희석비율은 품목별 레시피로 고정해 현장마다 다른 농도 오류를 차단합니다.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scenario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scenario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team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team 관련 이미지
#파레토#마스터등록#pareto#master

지표 대시보드: 회전일수·폐기율·긴급구매율

KPI는 세 가지면 충분합니다. ① 재고회전일수(Days of Inventory) ② 유통기한 경과/폐기율 ③ 긴급구매 비중. 경보는 ‘A품목 회전일수 10일 초과’ ‘유통기한 30일 이내’ ‘긴급구매 5% 초과’로 단순하게 설정합니다. 팀 주간회의에서는 결품사유(예측오류·입고지연·오기재)를 코드화해 누적 분석하면, 공급자 교섭과 루트 다변화의 근거가 됩니다.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pareto 관련 이미지
청소업 재고앱 비교·도입 가이드 일반·공통 pareto 관련 이미지
#핵심지표#경보설계#KPI#alerts

💡 실천 로드맵

1~2개월: 유형 선택(규모 기준)→상위 20% 품목 마스터 등록→바코드·라벨 프린터 세팅. 3~4개월: Min/Max 임계치·보충리드타임 입력→오프라인 모드 테스트→유통기한 품목 라운드태그 적용. 5~6개월: KPI 대시보드 운영(회전일수·폐기·긴급구매)→결품 원인 코드화→공급자 2원화. 변화는 단순함에서 시작됩니다. 데이터를 일관되게 쌓으면, 재고는 비용에서 경쟁우위로 전환됩니다.
공유하기:

📚 이런 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