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 스토리

긴축기 손익반전 체크리스트 핵심

사업의 본질은 지속입니다. 경기 둔화 속에서도 수원 수제잼 공방 ‘달빛병’은 손익 체크리스트로 3개월 만에 고정비 12% 절감, 순이익률 4%→11%로 반전했습니다.

·9분 읽기
긴축기 손익반전 체크리스트 핵심

수원 수제잼 공방의 3개월 손익 반전

#매출흐름#순이익률#revenue#margin

주인공은 수원 행궁동 12평 수제잼 공방 ‘달빛병’. 월매출 2,400만원, 순이익률 4%로 겨우 버티던 곳이었습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생존의 열쇠는 손익의 구조를 매일 확인하는 습관이었습니다. 체크리스트를 도입한 뒤 3개월, 고정비 12% 절감과 불량률 3.2%→1.1% 개선으로 순이익률이 11%까지 올랐습니다.

긴축기 손익반전 체크리스트 핵심 제조·공방 margin 관련 이미지
긴축기 손익반전 체크리스트 핵심 제조·공방 margin 관련 이미지

위기의 시작: 매출은 늘었는데 통장이 비다

#고정비증가#현금부족#overhead#cashflow

사업의 본질은 현금흐름입니다. 이들은 SNS 바이럴로 매출이 15% 늘었지만 야간 추가 생산과 택배비 인상으로 고정비와 변동비가 동시에 부풀었습니다. 특히 인건비 520→640만원, 포장·물류비 280→360만원으로 상승했는데, 항목별 분리 없이 ‘총액’만 보고 버틴 것이 첫 실패였습니다.

긴축기 손익반전 체크리스트 핵심 제조·공방 overhead 관련 이미지
긴축기 손익반전 체크리스트 핵심 제조·공방 overhead 관련 이미지

전환의 계기: 하루 20분 손익분석 루틴

#일일점검#데이터기록#dailycheck#ledger

30년을 돌아보며 말합니다. 구조를 모르면 노력은 새나갑니다. 대표는 매일 마감 전 20분, 매출·고정비·변동비·불량·반품·재고를 6칸 표로 기록했습니다. 생산량이 아닌 ‘유효판매량’과 ‘단품 공헌이익’을 적는 순간, 적자 메뉴와 과포장 관행이 눈에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긴축기 손익반전 체크리스트 핵심 제조·공방 cashflow 관련 이미지
긴축기 손익반전 체크리스트 핵심 제조·공방 cashflow 관련 이미지

성공 요인① 고정비 절감: 시간표와 공간의 재설계

#고정비절감#공간재배치#overheadcut#layout

장기적으로 보면 고정비는 습관입니다. 야간근무를 주 3회→1회로 축소하고, 낮 시간대 Takt에 맞춰 배치해 잔업수당을 월 80만원 줄였습니다. 작업대 동선을 U자로 바꾸고 공동세척으로 물·가스비 18%를 낮췄습니다. 촬영 스튜디오 겸용 공간을 반납해 임대료도 30만원 절감했습니다.

긴축기 손익반전 체크리스트 핵심 제조·공방 ledger 관련 이미지
긴축기 손익반전 체크리스트 핵심 제조·공방 ledger 관련 이미지

성공 요인② 변동비 통제: 원가의 ‘보이지 않는 새는 구멍’

#변동비관리#불량감축#variablecost#defect

변동비는 작은 실수의 합입니다. 200g 잼을 205g으로 과충전하던 습관을 계량 스푼으로 표준화해 원재료 사용량을 6% 줄였습니다. 유리병 파손은 완충재 규격화로 반토막, 박스 규격을 3종→2종으로 줄여 택배 단가를 상자당 350원 낮췄습니다. 불량·반품 비용이 월 76→28만원으로 감소했습니다.

긴축기 손익반전 체크리스트 핵심 제조·공방 layout 관련 이미지
긴축기 손익반전 체크리스트 핵심 제조·공방 layout 관련 이미지

성공 요인③ 공헌이익 기준 메뉴 정리

#메뉴구조#공헌이익#productmix#contribution

사업의 본질은 선택과 집중입니다. 단품별 공헌이익을 계산하니 ‘딸기로즈’는 병당 1,450원, ‘청귤’은 620원에 불과했습니다. 고객의 사랑을 받던 청귤은 시즌 한정으로 전환하고, 고마진 3종에 생산 슬롯을 60% 배분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생산시간은 12% 단축, 평균 공헌이익은 병당 980→1,320원으로 상승했습니다.

긴축기 손익반전 체크리스트 핵심 제조·공방 defect 관련 이미지
긴축기 손익반전 체크리스트 핵심 제조·공방 defect 관련 이미지

당신의 매장에 적용하는 최소 조건

#체크리스트#적용요령#checklist#howto

첫째, 손익표를 ‘6칸’으로 단순화하세요: 매출·고정비·변동비·불량·반품·재고. 둘째, 단품 공헌이익=판매가–(재료+포장+물류+직접노무)을 주 1회만 계산해도 충분합니다. 셋째, 인건비는 ‘시간표’로, 변동비는 ‘표준화’로 관리합니다. 넷째, 최저 2주 동안 기록하면 반드시 누수가 보입니다.

#교훈#격려#lesson#inspiration

💡 이 사례의 핵심 교훈

손익표는 숫자의 채찍이 아니라 방향을 비추는 등불입니다. 오늘부터 ‘6칸 손익표’로 하루 20분만 점검해보세요. 작은 절감이 쌓여 내일의 자유를 만듭니다. 당신의 매장도 충분히 반전할 수 있습니다.

공유하기:

📚 이런 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