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이 있는 경영학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간이과세 기준 상향(1억400만원)·면제선(4,800만원), 세금계산서 의무·신고 달력을 한눈에 정리하고 업종·원가 구조별 과세유형 선택과 현금흐름 중심 절세 루틴, 3~6개월 실행안을 제시합니다.

·14분 읽기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세무는 비용이 아니라 전략

사장님, 세무는 ‘돈 빠져나가는 일’이 아니라 사업의 언어예요. 해봤더니 숫자를 모르면 가격·원가·현금흐름 결정을 전부 감으로 하게 됩니다. 드러커 말대로 “측정되지 않으면 관리되지 않는다”. 세무신고와 간이과세 판단은 무엇에 집중하고 무엇을 포기할지, 장기 전략의 기준점을 세우는 작업입니다.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전략 관련 이미지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전략 관련 이미지
본질전략philosophystrategy

간이·일반 기준선: 1억400만원/4,800만원

2025년 기준 간이과세 적용선은 연매출 1억400만원 미만, 일반과세는 그 이상입니다. 일부 업종(부동산임대·과세유흥)은 여전히 4,800만원 미만일 때만 간이 적용이고, 간이과세 중에서도 연매출 4,800만원 미만은 ‘부가세 납부 면제’ 대상이죠. 기준선 착각이 가장 비싼 실수입니다.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threshold 관련 이미지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threshold 관련 이미지
간이과세일반과세thresholdVAT

세금계산서 의무와 7월 예정신고

세금계산서 발급도 규칙이 달라요. 경험상 여기서 가장 많이 삐끗합니다. 연매출 4,800만원 이상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있고, 상반기에 세금계산서를 끊었다면 7월 25일까지 예정신고를 해야 합니다. 4,800만원 미만은 영수증만 발급 가능. 신고·증빙 일정이 곧 현금흐름 달력입니다.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VAT 관련 이미지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VAT 관련 이미지
세금계산서예정신고invoicepre-filing

간이과세 공식과 ‘매입 0.5%’의 의미

간이과세는 단순하지만 매입세액 공제가 거의 안 됩니다. 공식은 ‘납부세액 = 매출×업종부가율×10% – 매입액×0.5%’. 그래서 매입이 많은 업종·투자 시기에는 일반과세가 유리합니다. 실제로는 “세금 줄이기”가 아니라 “원가 구조 적합성” 문제예요. 드러커식으로 비용의 성격을 재정의하면 선택이 선명해집니다.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invoice 관련 이미지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invoice 관련 이미지
매입세액부가가치세input taxformula

포터의 트레이드오프: 어떤 복잡성을 택할까

포터는 전략을 “무엇을 하지 않을지 선택하는 일”이라 했죠. 간이는 단순·저부담 대신 B2B 신뢰·공제효과를 일부 포기합니다. 반대로 일반은 공제·거래 신뢰를 얻는 대신 관리 복잡성을 떠안죠. 내 업이 카드·배달앱 수수료, 원두·식자재 매입처럼 ‘매입비중↑·B2B거래↑’라면 일반이 장기 적합, 순수 소매·현금매출 비중이 높다면 간이가 맞을 수 있습니다.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input tax 관련 이미지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input tax 관련 이미지
트레이드오프B2B거래trade-offpositioning

사례A: 카페 9,700만—전환의 타이밍

실전 A(카페 9,700만원): 원가 35%, 임차·인건비 40%, 매입 증빙 충분. 간이 유지 시 공제는 매입×0.5% 수준이라 체감 환급이 미미합니다. 반면 일반 전환 시 세금계산서 수취·공제와 B2B 거래 신뢰가 붙어요. 경험상 매입·투자 비중이 커질 계획(머신 교체·리모델링)이면 바로 일반으로 가는 게 총비용이 낮았습니다. 반대로 매입이 얇고 소매 비중 크면 간이 유지.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formula 관련 이미지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formula 관련 이미지
카페전환시점cafeswitching

사례B: 미용실 1억200만—전환 대비 체크

실전 B(미용실 1억200만): 7월에 일반자동전환 구간에 걸립니다. 세금계산서 발급 체계로 바꾸고, 소모품·인테리어·교육비를 세금계산서로 정리해 공제력을 키우세요. 기존 간이 기간엔 매입공제 한계가 있었지만, 전환 후엔 거래 투명성과 매입세액 공제로 원가율이 내려갑니다. 고객·협력사에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고지를 선제적으로 하세요.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positioning 관련 이미지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positioning 관련 이미지
미용실전자세금계산서salone-invoice

신고 달력과 현금흐름 관리

신고 달력부터 잡으세요. 간이과세는 1년 통산 후 다음해 1월 25일까지 확정신고가 원칙, 다만 상반기 세금계산서를 발급했다면 7월 25일에 한 번 더 신고가 생깁니다. 일정이 바뀌면 납부자금도 흔들려요. POS·배달앱 정산주기와 세금 납부 스케줄을 연결해 ‘세금적금’처럼 자동 이체를 걸어두면 연체·가산세 리스크가 줄어듭니다.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cafe 관련 이미지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cafe 관련 이미지
신고달력현금흐름calendarcashflow

콜린스 플라이휠: 절세의 일상화

콜린스의 ‘플라이휠’처럼 절세는 한 방이 아니라 루틴입니다. 월 1회—매출누계와 경계선(4,800·10,400) 모니터링, 분기 1회—거래처별 전자세금계산서·현금영수증 매칭, 반기 1회—과세유형 적합성 재점검. 해보니 이 루틴만 굴려도 신고철에 새로울 게 없습니다. 규율이 복잡함을 이기고, 복잡함이 비용을 줄입니다.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switching 관련 이미지
간이과세 변경·절세 체크리스트 일반·공통 switching 관련 이미지
플라이휠루틴flywheelroutine

드러커 MBO: 세무 KPI 보드 만들기

드러커의 목표관리(MBO)를 세무에 적용해봅시다. ‘세후현금흐름’과 ‘증빙완성도(전자증빙 비율)’를 핵심지표로 잡고, 월말 3일 안에 마감—다음달 5일 예산 조정—10일 재고·원가 점검으로 닫습니다. 경험상 이 리듬이 정착되면 경영 판단이 빨라지고, 세무 이슈가 사고가 아니라 ‘예측 가능한 비용’으로 변합니다.
목표관리KPIMBOdashboard
💡 실천 로드맵
💡 실천 로드맵: 1개월차—매출·매입 12개월 롤링예측 만들고 간이/일반 시나리오 손익 비교. 2개월차—세금계산서 발급/수취 체계 점검, 전자증빙 95% 달성. 3개월차—원가 큰 항목(원두·재료·설비) 구매를 일반 전환 시점과 정렬. 4~6개월차—분기별 KPI: 매입세액 공제액, 증빙 누락률, 현금흐름 변동성. 변화는 누적입니다. 오늘 작은 체크가 내년 신고 스트레스를 없앱니다.
공유하기:

📚 이런 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