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이 있는 경영학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지방 관광이 회복될 때 돈은 ‘더 오게 하기’보다 ‘더 머물게 하기’에서 납니다. 공연장·호텔·스튜디오·체험을 한 장의 동선으로 묶어 빈시간을 수익으로 바꾸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14분 읽기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질문을 바꾸자: 손님 유입보다 체류 설계

지역 관광이 살아나도 소상공인은 금방 피로해집니다. 이유는 단순합니다. 손님을 더 부르는 데 에너지를 쓰고, 정작 머무르게 만드는 설계가 비어 있기 때문이죠. 철학의 출발점은 이겁니다. ‘우리 가게가 단독 목적지가 될 수 없을 때, 누구와 어떤 흐름으로 이어 붙일 것인가.’ 손님은 한 장의 이야기로 움직입니다. 동선·시간·결제를 하나로 묶으면, 작은 가게도 큰 무대의 일부가 됩니다.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dwell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dwell 관련 이미지
#체류설계#본질질문#dwell#question

원칙1: 유휴시간 맞교환, 모두의 빈칸을 채우기

호텔엔 체크인 전 후가 비고, 공연장은 낮 공연 좌석이 남고, 스튜디오는 평일 오후가 비어 있습니다. 피터 드러커가 말한 대로 강점에 기대야 합니다. 각 업장은 일주일 ‘빈시간 3칸’을 표로 뽑아 교환하세요. 예: 평일 14–16시 ‘낮 공연 1막+카페 시그니처+스튜디오 20분’ 패스를 만든다면, 셋의 빈칸이 동시에 채워집니다. 서로 10~15%씩 양보해 한 장 가격을 만들면 모두가 이익을 나눌 수 있습니다.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question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question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idle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idle 관련 이미지
#유휴시간#맞교환#idle#swap

원칙2: 다르게 하거나 더 간단하게

마이클 포터는 ‘다르게 하라’고 했습니다. 지역 연계도 마찬가지입니다. 남들이 3~4개 코스로 복잡하게 팔 때, 우리는 핵심 하나(공연·숙박·촬영 중 1개)에 경험 하나(디저트·체험·가이드)만 붙입니다. 규칙은 간단합니다. 두 개 묶음은 정가 대비 10~15% 절충, 세 개 묶음은 20% 이내. 대신 이용 가능 시간대를 명확히 적어 혼잡을 막고, 추가 구매는 현장에서 선택하게 남겨두세요.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swap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swap 관련 이미지
#차별화#단순화#different#simple

원칙3: 마찰 제거—이동·대기·결제를 한 번에

고객은 ‘어디로 가야 하죠?’에서 가장 지칩니다. 그래서 세 가지를 고정합니다. ① 도보 7분 내 동선, ② 안내 스티커와 미니 지도, ③ 한 번 결제 후 도장 3칸으로 끝. 대기는 ‘지루함’이 아니라 ‘소비’가 되게 만듭니다. 공연 전 20분은 포토존·시음, 체크인 대기는 동네 지도+시그니처 간식. 이동과 대기가 즐거우면 체류시간이 늘고 추가 주문이 따라옵니다.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simple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simple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friction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friction 관련 이미지
#마찰감소#한번결제#friction#flow

사례A: 소극장×카페—낮 공연을 살린 90분

낮 공연 좌석이 남던 소극장과 오후 3~5시가 한가한 카페가 손을 잡았습니다. ‘14시 공연 1막+15:40 카페 세트’로 90분 코스를 만들고, 티켓에 도보 지도와 도장을 인쇄했죠. 결과는 단순했습니다. 낮 공연 점유율이 빠르게 오르고, 카페의 오후 매출이 안정적으로 올랐습니다. 핵심은 가까운 거리, 한 번 결제, 명확한 시간표. 세 가지가 겹치니 환불과 불만이 줄었습니다.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flow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flow 관련 이미지
#소극장#카페연계#theater#cafe

사례B: 호텔×스튜디오—체크인 대기를 추억으로

체크인 15시 전 대기 40분은 민원 폭탄이었습니다. 호텔은 2층 스튜디오와 ‘30분 스냅+엽서’ 체험권을 로비에서 판매했습니다. 고객은 짐을 맡기고 바로 촬영, 엽서를 쥐고 객실로 이동. 대기 불만이 크게 줄고, 스튜디오는 평일 오후가 살아났습니다. 서로의 약한 시간을 바꿔 잡으니, 두 곳 모두 리뷰 품질이 개선됐습니다.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theater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theater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cafe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cafe 관련 이미지
#체크인데기#사진체험#hotel#studio

실패 패턴: 일방 할인과 불명확한 책임

연계가 깨지는 가장 흔한 길은 ‘납품처 대하기’입니다. 상대에게만 할인을 요구하고, 취소·지연·품질 기준이 문서로 정리되지 않으면 금방 틀어집니다. 계약은 A4 한 장으로 충분합니다. 수익 나누기(예: 판매처 30, 제공처 70), 일일 판매 한도, 취소 기한, 위생·안전 기준, 안내물 양식. 서로의 최소 보장을 적고 서명하세요. 신뢰는 문서에서 시작됩니다.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hotel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hotel 관련 이미지
#실패요인#책임분담#failure#liability

운영의 핵심 숫자 3개만 보자

복잡한 표 대신 현장에서 바로 쓰는 숫자 3개를 벽에 붙입니다. ① 사용률(판매 대비 실제 이용), ② 체류시간(첫 이용~마지막 이용), ③ 추가 구매율(현장 선택 비중). 사용률이 70% 아래면 안내·동선이 문제, 체류시간이 짧으면 이동·대기 설계가 문제, 추가 구매가 낮으면 경험 품질을 손보면 됩니다. 주간 회의는 이 세 숫자와 사진 3장으로 끝내세요.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studio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studio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failure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failure 관련 이미지
#핵심숫자#현장관리#usage#upsell

3–6개월 실행 청사진: 골목 단위 연계 맵

1개월차: 파트너 후보 5곳을 만나 ‘빈시간 3칸표’를 받습니다. 도보 7분 내 3곳을 1차 선정하고, 공용 안내 스티커와 지도 초안을 만듭니다. 2개월차: ‘핵심1+경험1’ 패키지 2종을 시범 운영합니다. 환불·혼잡·불만을 사진과 함께 기록하세요. 3개월차: 가격·시간대를 재배치하고, 리뷰 문구와 포토존을 개선합니다. 4~6개월차: 지역 행사 주간에 맞춰 ‘골목 패스’를 확장하고, 판매 한도를 점진적으로 올립니다. 동선·시간·결제 한 장을 계속 다듬는 게 관건입니다.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liability 관련 이미지
지역연계로 체류 늘리기 일반·공통 liability 관련 이미지
#실행맵#골목연합#street#map

💡 실천 로드맵

1–2주차: 빈시간 3칸표 수집, 도보 7분 이내 파트너 3곳 확정. 3–4주차: 패키지 2종 출시, 한 번 결제·도장 카드·안내 스티커 적용. 2개월차: 사용률·체류시간·추가 구매율 주간 점검, 불만 사진 기록. 3–4개월차: 가격·시간대 재조정, 계절 행사 연동. 마인드셋은 간단합니다. 혼자 영웅이 되려 하지 말고 흐름의 설계자가 되세요. 동선이 스토리를 만들고, 스토리가 수익을 만듭니다.
공유하기:

📚 이런 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