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은 지도로 시작된다
30년을 돌아보며 느낀 건, 요즘 고객은 ‘지도에서 고른다’는 사실입니다. 사업의 본질은 보이는 곳에 정확히 있는 것. ‘근처 카페·공연장’ 검색에서 상단 노출을 노리려면, 지도 프로필의 기본 정보를 완성하고 영업시간·혼잡도·주차 유무를 명확히 적어 기대와 경험의 차이를 줄이세요.

#지도검색#노출지표#local pack#ranking
NAP 통일과 카테고리 고정하기
안전하게 접근하려면 상호명·주소·전화(NAP)를 모든 채널에 동일하게 두세요. 네이버 플레이스·구글 비즈니스 프로필·자사 홈페이지까지 철저히 일치시켜 검색 엔진의 신뢰도를 올립니다. 1차 카테고리는 핵심 서비스로, 2차는 부가 서비스로 고정해 알고리즘이 혼동하지 않도록 하세요.


#상호주소전화#카테고리#consistency#primary
사진·메뉴·좌석 정보로 체험 전달
장기적으로 보면 사진이 말보다 설득합니다. 대표 메뉴·무대 시야·좌석 간격·대기동선을 각 3장 이상 업로드하고, 휠체어 접근성·화장실 위치 같은 속성을 체크하세요. 메뉴는 가격과 알레르기 표기를 포함하고, 좌석·대관 FAQ를 짧게 올리면 문의 전화가 줄고 예약 전환이 안정됩니다.

#현장사진#체험정보#gallery#attributes
리뷰·Q&A 응답 속도가 순위를 좌우
위험을 줄이는 방법은 일관된 응대입니다. 리뷰·Q&A는 24시간 내 1차 답변, 증빙이 필요한 사안은 48시간 내 후속 안내 원칙을 세우세요. 감사 멘트·사과 문구 템플릿을 마련해 톤을 통일하면 분쟁을 예방합니다. 별점 4.5 유지는 노출과 예약에 직결되는 핵심 지표입니다.


#응답시간#평판관리#response#reviews
행사·키워드 캘린더로 신선도 유지
예측할 수 없다면 준비라도 철저히. 매달 ‘행사·키워드 캘린더’를 만들고 공연·시즌 한정 메뉴·지역 축제 연계를 게시물로 꾸준히 올리세요. “홍대 인디공연 예매”, “주차 가능한 소극장”처럼 지역·상황 키워드를 제목·본문·사진 캡션에 자연스럽게 넣어 검색 일치도를 높이세요.

#게시물#이벤트#posts#freshness
데이터 점검: 유입→전화→예약 흐름
실수하지 않으려면 숫자를 보세요. UTM 링크로 지도→예약 페이지 유입을 구분하고, ‘전화 걸기’ 클릭수·길찾기 요청수·예약 완료수를 주간 대시보드로 확인합니다. 이탈이 크면 사진와 설명을 교체하고, 전화가 많은데 예약이 적다면 좌석·가격 정보를 한눈에 보이도록 재정렬하세요.


#전환추적#성과지표#utm#conversion
#실천#행동계획#action#imple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