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 서고 전화 받다 하루가 간다
하교 시간대엔 학부모 전화가 몰리고, 데스크 앞엔 출결 찍으려는 아이들이 줄을 만듭니다. 결제까지 겹치면 직원은 안내만 하다 지칩니다. 지금 필요한 건 ‘사람을 더 쓰는’ 게 아니라, 접수·출결·간단 결제를 키오스크로 뽑아내는 겁니다. 설치가 겁나면 핵심만 하세요. 한 대로 시작해도 체감이 확 납니다.

현장 점검부터: 전기·인터넷·위치 고르기
멀티탭(접지형)과 유선 랜포트 유무부터 보세요. 랜이 없으면 공유기 근처에 두고, 출입문 2m 안쪽은 피하세요(추위·혼잡). 키오스크는 등받이 없는 의자 옆, 동선 옆면이 좋습니다. 높이는 아이 기준 가슴 부근, 바닥엔 미끄럼 방지 패드. 벽면엔 ‘출결은 여기서’ A4 안내문을 눈높이에 붙이세요.


모델 선택과 연결: 기본형 한 대로 시작
출결+QR 결제만 되는 기본형으로 시작하세요. 카드·현금 모듈은 나중에. 태블릿+거치대 조합도 충분합니다. 와이파이 연결 후, 학원 관리 시스템의 키오스크 모드나 웹 체크인 페이지를 전체화면으로 고정합니다. 비밀번호 자동저장은 끄고, 화면 꺼짐은 30분 이상으로 조정하세요.

화면 구성: 3버튼 규칙으로 단순화
첫 화면은 ①출결 ②예약 ③결제 3버튼만. 출결은 학번/QR 두 가지, 예약은 체험수업·보강만 노출, 결제는 정기 결제용 QR만 띄웁니다. 각 버튼을 누르면 2단계 안에 끝나게 하고, 실패 시 ‘데스크 호출’ 큰 버튼을 둡니다. 소리 알림을 켜서 성공음을 데스크에서도 듣게 하세요.


운영: 안내 3일 집중, 책임자 1명 지정
첫 3일은 등원 시간대에 직원 한 명이 옆에 서서 사용을 돕습니다. 학부모 문자엔 ‘오늘부터 출결은 키오스크, 결제는 QR’ 한 줄 공지를 넣고, 초기 1주일은 데스크에서도 수기 백업을 병행하세요. 책임자 1명을 정해 매일 2회 로그를 확인하고, 오류 시간·사유를 수첩에 적어 개선합니다.

💡 오늘 바로 실행하기
① 전기·랜 위치 체크, 설치 자리 테이프로 표시 ② 태블릿/기본형 한 대 주문 또는 대여, 거치대 준비 ③ 첫 화면 3버튼 구성 적용, 화면 꺼짐·음량 설정 ④ ‘출결은 여기’ A4 안내문 부착, 학부모 문자 공지 발송 ⑤ 3일간 옆붙이 안내, 담당 1명 지정해 로그 점검

